2023 Google Solution Challenge
2023.02.02 / 19:00 ~ 21:30
팀플 전에 파이어베이스에 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려고 공부도 했다.
개발 환경설정 열심히 하는 중..인데 index.html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아서 헤맸다.
영상 보고 따라하는 중인데, Mac에서 터미널로 작업하는 것을 보았다.
나도 Ubuntu로 할 껄..
두 번째 대면 회의는 학교 안에 위치한 원천정보관에서 진행했다.
근데 2년 동안 다니면서 듣도 보도 못한 건물이라 어디인지 몰랐는데, 이용해 보니 시설이 깔끔하고 좋았다.
어플을 별도로 만들어서 회의실 예약 관리를 하는데 그냥 공식 어플에 기능을 추가하면 어떤가 생각이..
화면공유용 모니터도 4K여서 매우 선명해서 만족스러웠고 너무 작게 보여서 FHD로 내려서 진행했다.
저번 회의에 이어 백엔드 파트에서는 데이터 수집 방법과 데이터베이스 구조 설계, 필요한 API 찾기에 주목했다.
무엇을 공부해야할지도 의논한 결과 파이어베이스, Node.js 사용법을 익히기로 했다.
API를 수동으로 가져오면 재미 없으니 auto scheduling을 목표로 설계하기로 했고, 이를 위해 Cron-job에도 관심을 가졌다.
추가로 Github도 본격적으로 사용해 볼 예정이다.
무지성 commit push commit push를 벗어나서 branch도 사용해 볼 계획 :)
오늘도 저번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협업(?) 툴을 접했다.
figma에서 인터페이스 디자인 툴을 접했다면,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erdcloud를 사용했다.백엔드 두 명이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공할지 정하기로 했는데파이어베이스는 noSQL기반이라 이걸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는 상황 :(
(저희 각자 하지 말고 만나서 정해볼까요.. ㅜㅜ)
erdcloud를 저번학기 데베시간에 알았으면 맛있게 작성했을텐데 지금 알게된 것이 아쉬웠다.
확실히 잘 하는 분들과 팀플을 진행하니 생소한 내용이 많다.
프론트 - 백엔드 간에 대화하는 내용 듣는 동안 모르는 내용이 생기면
바로 물어보거나 집에 가서 열심히 찾아보는 중!
오늘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